덴탈 IQ 올려주는 치아관련 상식

소중한 치아!!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나요?

위고하이Hi 2024. 5. 5. 00:58

치아의 구조를 알아볼까요?

매일 하루도 쉬지않고 맛있는 음식을 먹도록 도와주는 우리의 소중한 치아는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볼게요.

치아는 크게 머리 부분 치관 그리고 뿌리 부분인 치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크게 입을 벌리면 나란히 치아들이 보이는데 눈으로 확인가능한 부분이 치관인것이죠~
치아의 뿌리인 치근은 턱뼈(치조골) 속에 있고 잇몸에 덮혀 있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하기는 쉽지 않아요.
일반적으로 충치가 잘 생기는 부분은 바로 치관입니다~

[치아의 구조]

음식을 씹을 때 가장 먼저 닿는 부위는 법랑질입니다.  법랑질의 외부는 하얀색으로 보이지만 회백색의 부분으로 96%가 무기질로 이루어져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경조직이랍니다.
법랑질에는 신경이나 혈관이 존재하지 않아서 충치가 법랑질에만 국한되어 생긴 경우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하지만 한 전 충치로 손상된 경우 회복되지 않아요.

법랑질 바로 아래의 상아질은 무기질이 70%로 이루어져 법랑질 보다 덜 단단하고 상아세관이라고 하는 미세 관들이 존재하는데 상아세관으로 치아의 신경들이 연결되어 있어서 치아깨짐이나 치아마모로 상아세관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시린증상이나 통증을 느낄 수 있어요. 상아질은 탄력성을 가지고 있어서 씹는 힘의 충격을 막아 법랑질이 깨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답니다~

치아의 신경 줄기인 치수는 치아 머리 부위의 치수강, 치아 뿌리의 근관이라고 하는데 깊은 충치로 치수강과 근관의 신경, 혈관을 제거하는 과정을 신경치료(근관치료)라고 합니다. 치통을 느끼는 부분이 바로 치수입니다.

치아의 뿌리인 치근은 우리 몸의 뼈와 매우 비슷한 백악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백악질의 경우 치아를 턱뼈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치은(잇몸)은 치아의 목 부위부터 치근을 둘러싼 턱뼈를 덮고 있는 점막으로 일부 각화되어있는 치은이 음식을 씹을때 생기는 마찰력으로 부터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강 위생관리가 잘 되지 않아 치은이 세균에 노출되는 경우 초기 치주질환인 치은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조골치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것으로 치아 뿌리가 박혀있는 턱뼈를 의미합니다. 치아가 빠져서 임플란트 수술을 할 경우 치아 뿌리가 박혀있던 치조골의 손실 또는 손상되었다면 임플란트가 턱뼈에 유지되는 것을 돕기위해서 치조골이식수술이 필요하죠~

그리고 치조골과 치근 사이에는 치근이 치조골에 잘 부착되도록 돕는 치주인대가 존재합니다. 치주인대는 갑작스럽거나 센 힘의 자극에 완충역할을 하게 됩니다. 임플란트에는 완충역할을 하는 치주인대가 없기 때문에 너무 질긴 음식이나 단단한 음식을 씹을 때는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치아 구조 정리]

치아 구조 하나 하나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네요!
우리 몸의 건강을 위해서는 치아건강 또한 아주 중요하다는거 아시겠쥬?
깔끔한 치아 관리로 충치도, 치은염도, 치주질환도 모두 예방해 보아요!! ^^

반응형